티스토리 뷰


워크플로우 제작하기

워크플로우 작성법 파악

앱의 콘텐츠 구조, 주요기능, 사용자 태스크를 토대로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제작할 수 있다.

워크플로우(workflow) 작성

워크플로우 작성의 목적

워크플로우는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취하는 경로나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 램이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전체적인 이용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된다. 그리고 특정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점과 함께 제시되어야할 메뉴와 정보도 포함된다.

워크플로우의 활용
  • 앱의 기능이나 작업들이 어떻게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와이어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를 검토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이동 경로 및 과정을 예측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작업을 플로우 안에 배치함으로써 시스템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앱의 동작 단계나 화면의 순서를 그려볼 수 있다.
  • 여러 화면간의 UI 요소와 인터랙션의 일관성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 워크플로우상에서 사용자들의 특정 행위와 작업을 통해서 중요한 기능 요소를 정의 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사용자가 앱을 어떤 방식으로 내비게이션 하는지를 알려주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 지를 예측할 수 있다.
  • 전체 화면들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식화함으로써, 사용 자 시나리오 흐름과 옵션에 따른 경로를 알기 쉽게 보여준다.
워크플로우 구성 요소

워크플로우는 사용자 관점에서 앱 UI의 구조를 정의하는 설계서 중 하나로서 작성 시, 다 음의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한다.

  • 앱의 콘셉트를 대표하는 시스템의 핵심 태스크 목록
  • 사용자의 목표 및 세부 목표에 따른 기능 목록
  • 사용자와 시스템의 접점이 필요하며, 이는 사용자 니즈의 발생 시점이 된다./li>
워크플로우 평가 항목
  •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예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가?
  • 사용자 중심에서 작업의 편의성이 고려되어 있는가? 시스템 중심의 설계로 불필요 한 기능은 없는가?
  • 작업 흐름을 고려한 기능 배치 및 정보 연관성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가?
  •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완료한 결과를 해당 화면에서 바로 보여주는가?

워크플로우 작성 시 고려해야할 UI 구성 및 요소

콘텐츠와 기능 구성
  • 사용자 요구가 높은 콘텐츠/기능을 우선순위별로 파악하고, 이와 함께 해당 앱에 꼭 필요한 콘텐츠/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비교하여 선정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사용자가 왜 이 앱을 사용하는가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 콘텐츠/기능들을 어떤 형태로 제공할 것인지 UI 구성 요소를 고려한다.
  • 콘텐츠/기능 요소를 어느 위치에 넣을 것인지, 화면의 일관된 레이아웃을 전반적으 로 구상하고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한다.
화면 구성 및 종류
  • 카테고리 뷰(category view)
  • 상세 뷰(detail view)
과업 흐름(taskflow) 분석

화면 설계를 위해서 사용자 태스크 플로우를 분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먼 저, 사용자 조사 방법 중 관찰조사를 통해서 사용자가 특정 앱을 이용할 때 목적을 이루 기 위해 어떻게 태스크를 수행하는지 조사하고 사용자 태스크를 빠짐없이 기록하는 방법 이 있다. 그리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서도 태스크 플로우 분석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앱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경로나 과정을 태스크 플로우라고 한다. 그리고 각 태스크 흐름상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콘텐츠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서 UI 시나리오를 이용하기도 한다. 태스크 플로우 분석 시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하는 내용 은 다음과 같다.

  • 사용자가 과업을 어떠한 단계로 수행하는가?
  • 과업 단계가 화면 단위로 어떻게 나뉘는가?
  • 사용자 과업에 따른 화면별 정보 요소의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