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UX/UI 전략 도출하기

앱 UX/UI 디자인 방향성 및 콘셉트 도출

수립된 UX 전략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구체적인 앱 UX/UI 디자인 방향성 및 콘셉트를 도출할 수 있다

UX 디자인 목표 수립

UX 디자인 전략이란,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원칙과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본 학습에서는 문화콘텐츠앱 디자인의 세부 전략을 바탕으로 UX 디자인 목표를 수립한다. 다음 예시와 같이, 명확한 목표 수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UX 디자인 콘셉트를 정의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앱 UX 디자인 원칙

사용자 경험을 이루는 앱 디자인의 핵심 분야로서 인터랙션 디자인, 정보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의 세 가지 디자인 분야의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 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여 본다.

  • 인터랙션 디자인
    • 인터랙션 디자인의 목적은 사용자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특 히, 작업 중심의 앱과 같이 사용자가 분명한 목적을 갖고 접근하는 경우에는 앱의 특 정 요소를 보고 사용자가 바로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는 순간부터 인터랙 션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랙션 디자인은 비주얼 디자인과 연관성이 깊 으며, 사용자가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행위를 하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인식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화콘텐츠앱에서 기본적인 인터랙션은 입력과 출력, 사용자 터치 등에 대한 반응 및 영역, 기능의 조작 방식과 반응, 공간, 피드백, 움직임 등이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디자인 요소들을 타깃 사용자 그룹의 특성에 맞게 하여 최소한 의 인지적 노력과 움직임, 정확하고 빠른 피드백 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정보 디자인
    • 정보 디자인의 목적은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효 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조직화하고 구조화하여 이용하기 편리한 정보구조 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타깃 사용자 그룹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지적 과부하가 걸 리지 않도록 디자인 대상의 인지 능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앱 이용의 맥 락(context)에서 디자인의 인지적인 요소와 사용자의 기억 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타깃 에게 적절한 정보 구성과 흐름, 네비게이션, 레이블링의 이해, 정보 검색에 어려움이 없도록 고려해야 한다
  • 비주얼 디자인
    • 비주얼 디자인은 앱의 타이포그래피, 컬러, 레이아웃 등 눈에 보이는 디자인 요소 간 의 위계질서, 조화, 통일성, 일관성과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 디자인 분야이다. 특히, 디자인 대상의 시각적, 인지적 특성을 가장 고려해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타깃 사용자 그룹의 니즈를 만족하 게 하면서도 통일성과 일관성을 유지하여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컬러 표현과 같은 사용자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와의 정서 적 유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화콘텐츠앱 UX 디자인 목표 및 방향성

앞서 사용자의 핵심 니즈를 토대로 UX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 앱의 UX 디자인 목표를 수립하여 다음의 간단한 표어 형식으로 정리하여 작성해본다.

  • 직관적인 입출력 환경
    • 인터랙션 디자인의 문제 정의를 통합하여 문화콘텐츠앱 사용자를 위한 UX 디자인의 첫 번째 목표를 직관적인 입출력 환경으로 설정하여 본다.
  •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제공
    • 두 번째 목표는 정보디자인의 문제 정의를 통합하여 명확하고 체계적인 콘텐츠 분류 방식으로 정하여 본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를 제공하는 앱으로 설정하여 본다
  • 문화콘텐츠앱의 감성 전달
    • 세 번째 목표는 비주얼 디자인의 문제 정의를 통합하여 문화콘텐츠앱의 감성을 시각 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앱으로 설정하여 본다.

문화콘텐츠앱 디자인 콘셉트(design concept)

디자인 콘셉트에 사용자에게 전달해야 할 가치와 니즈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UX 디자인 콘셉트를 수립하여 본다.

댓글